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붙이는 약과 먹는 약, 효과 차이 있을까?

by 약사아닌약사 2025. 5. 12.

 

붙이는 약과 먹는 약, 효과 차이 있을까?

두통이나 근육통이 있을 때, 어떤 분은 먹는 약을 찾고, 또 어떤 분은 붙이는 파스나 패치를 선호합니다. 그런데 이 두 약, 작용 방식이 다르다는 건 알고 계신가요? “먹는 게 더 센가요?”, “붙이는 건 국소 치료라 부담 없나요?” 같은 질문도 많이 받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경구약(먹는 약)과 경피약(붙이는 약)의 차이를 효과, 사용 용도, 부작용 측면에서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1. 먹는 약(경구제)의 특징

  • 복용 경로: 입으로 섭취 → 위장 → 혈액 → 전신으로 작용
  • 장점: 전신에 빠르게 작용, 다양한 증상에 효과적
  • 단점: 위장 자극, 간 대사 부담 가능

예를 들어, 진통제 타이레놀(아세트아미노펜)은 먹으면 체내에 흡수되어 두통, 생리통, 근육통 등 온몸에 퍼져 있는 통증을 완화합니다.

2. 붙이는 약(경피제)의 특징

  • 복용 경로: 피부 → 국소 부위 또는 혈관 → 전신/국소 작용
  • 장점: 위장 부담 적고, 사용 간편
  • 단점: 작용 부위 한정, 흡수율 개인차 존재

대표적으로 파스, 진통 패치, 니코틴 패치, 호르몬 패치 등이 있습니다. 통증이 있는 부위에 직접 작용하기 때문에 관절통, 근육통, 요통 등에 효과적입니다.

3. 어떤 증상에 어떤 약이 더 좋을까?

증상 추천 제형 이유
두통, 생리통 먹는 약 전신성 진통 작용 필요
근육통, 타박상 붙이는 약 국소 부위에 집중 작용
감기, 열 먹는 약 해열제는 전신 작용이 필요
관절염, 만성 요통 붙이는 약 + 먹는 약 병용 통증 조절 + 국소 진정

4. 부작용 차이도 중요해요

먹는 약은 위장 자극, 간 대사에 부담이 될 수 있으며, 붙이는 약은 피부 자극(가려움, 발진)이 흔합니다.

특히 붙이는 약이라도 흡수되어 전신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간혹 진통제 패치로도 위장 불편감이나 어지럼증이 나타날 수 있어요.

5. 파스와 약물 패치의 차이

  • 일반 파스: 멘톨, 캄파 등 → 통증 완화, 시원한 느낌
  • 약물 패치(소염진통제): 디클로페낙, 케토프로펜 등 약 성분이 포함되어 항염 작용

즉, ‘파스는 그냥 시원한 느낌’ 정도라면, 약물 패치는 진짜 치료용입니다.

6. 붙이는 약 사용 시 주의사항

  • 같은 부위에 연속으로 붙이지 말기 – 피부 자극 방지
  • 땀이 많거나 젖은 피부에 붙이지 않기
  • 상처 부위에는 사용 금지
  • 일부 성분은 광과민성(햇빛에 민감)이 있어 자외선 노출 주의

결론

먹는 약과 붙이는 약은 목적과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른 장점이 있습니다. 국소 통증엔 붙이는 약이 효과적이고, 전신 질환엔 먹는 약이 필요합니다.

두 제형 중 어떤 것이 더 좋다기보다는 증상, 체질, 사용 편의성에 따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두 가지를 병행 사용하는 것도 효과적인 치료 방법입니다.

※ 본 글은 일반적인 복약 정보 제공을 위한 것이며, 사용 전 약사나 의사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