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약 포장지에 쓰인 기호들 완전 해석 – 성분표 보는 법
약을 사거나 처방받았을 때 약 포장지나 설명서에 적힌 복잡한 기호와 약어, 그냥 넘기시진 않으셨나요? ‘mg’, ‘정’, ‘P.O’, ‘1일 3회’ 같은 용어들이 무슨 뜻인지 모르겠어서 복용을 헷갈려 하는 분들도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약 포장지와 설명서에 자주 나오는 의약 기호와 성분표 보는 법을 쉽게 정리해드릴게요. 이 내용만 알아도 약을 더 정확하게, 안전하게 복용할 수 있습니다.
1. 성분명과 상품명 구분하기
- 성분명: 실제로 약효를 내는 주요 성분 (예: 아세트아미노펜)
- 상품명: 제약회사가 만든 브랜드명 (예: 타이레놀)
즉, 같은 성분이라도 회사에 따라 이름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복용 중인 약의 성분명이 무엇인지 확인하면 중복 복용을 피할 수 있습니다.
2. 약 용량 단위
- mg (밀리그램): 1/1,000g, 약 성분의 양 표시 → 타이레놀 500mg은 아세트아미노펜 500mg 포함
- ml (밀리리터): 액체약의 부피
- %: 용액 중 약물의 농도 (예: 클로르헥시딘 0.1%)
3. 제형 구분 기호
- 정 (Tablet): 고체 알약, 가장 흔한 형태
- 캡슐 (Cap): 젤라틴에 담긴 분말 또는 액상
- 시럽 (Syrup): 액상형, 주로 어린이 약
- 서방정 (SR, ER): 약효를 서서히 방출해 하루 1~2회 복용
- 장용정 (EC): 위를 지나 장에서 녹는 특수 코팅
※ 서방정, 장용정은 절대 쪼개거나 씹어먹지 않아야 합니다.
4. 복용 방법 약어 해석
| 기호 | 뜻 | 설명 |
|---|---|---|
| P.O | Per Os | 경구복용 (입으로 복용) |
| B.I.D | Bis in die | 1일 2회 복용 |
| T.I.D | Ter in die | 1일 3회 복용 |
| Q.D | Quaqua die | 하루 1회 |
| P.R.N | Pro re nata | 필요시 복용 (예: 통증 발생 시) |
| ac | Ante cibum | 식전 |
| pc | Post cibum | 식후 |
5. 보관 방법 기호
- 실온보관: 1~30℃, 햇빛과 습기 피해서 보관
- 냉장보관: 2~8℃, 주로 점안제, 인슐린 등
- 차광보관: 빛에 약한 성분이 있어 불투명 용기 보관 필요
6. 유통기한과 제조번호
- EXP: 유효기한 (예: 2025.12 → 2025년 12월까지 사용 가능)
- LOT: 제조번호 (불량 발생 시 해당 제품 추적용)
결론
약 포장지에 쓰인 용어와 기호들은 단순히 ‘전문가용’이 아닙니다. 내가 어떤 약을 먹고 있는지, 언제 먹어야 하는지, 어떻게 보관해야 하는지를 알려주는 중요한 정보입니다.
이제부터라도 약 포장지와 설명서를 꼼꼼히 읽고, 모르는 기호가 있다면 약사에게 물어보는 습관을 들여보세요. 그 작은 습관이 약의 효과를 높이고 부작용을 줄이는 큰 도움이 됩니다.
※ 본 글은 일반적인 의약 정보 제공을 위한 것이며, 실제 복용 시에는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